차이야기

문산포종차(文山包種茶)|

향기 나는 사람 2017. 12. 23. 20:37






이 번엔 문산포종차를 시음하겠습니다.


 





이 차는 해발 600m의 대북현 평림 문산지구의 청심오룡종으로

13엽으로 채엽해서 발효도 15%, 탄배도 0%진목계(陳木桂)씨가  제다했습니다.


아래 사진은 대만차산지 분포도 인데 가장 북쪽에 대북현 평림 문산지구가 있습니다.

토층이 얇고, 토층 밑으로 암석이 많이 있어서 차기가 강한 차가 생산된다고 합니다.

수원보호구(水源保護)로 지정되어 자연환경을 엄격하게 보호하고 있습니다.











문산포종차대만의 4대 오룡차(台湾四大烏龍茶)의 하나로서

오룡차 중에서도 발효도가 최저로 낮고 녹차에 가까운 차입니다.

차엽은 길고 가는 형상이 용에 비유되고, 국화를 연상시키는 화려한 향이 특징입니다.


 

1881년 중국 복건성의 오복원(呉福源)씨가 대북에 제조공장을 세우고

대북 주변의 문산지구농장에 묘목을 나누고,

차엽 관리와 수확을 하게해서 매입하고 제다해서,

제조방법을 전한 것이 문산포종차의 시작이라고 합니다.



복건성 안계(安溪)에는 사원이나 절의 관계자가 주된 생산자로서,

제다한 차엽을 모변지(毛邊紙)에 싸서 출하했기 때문에

포종(包種)이라고 명명했다고도 합니다.

현재 안계에서는 포종차를 생산하지 않고, 대만에서만 생산되고 있습니다.


문산지구의 차농가 사이에는

옛날부터 포종차로 사용되는 청심오룡의 차수(茶樹)종자(種仔)”라고 불렀습니다.

종이()에 종자(種仔)를 포장(包裝) 했으므로

포종차라고 부른 것이 명칭의 유래라고도 합니다.


                                                           


포장자재가 발달되지 않은 시대에는

차상인이 38.5 X 38.5cm 목판 석판 동판으로 인쇄한 포장지에

점포명이 들어간 주인(朱印)을 찍어서,

차엽을  4(150g) 1포로 싸서 포장했습니다.

포장지 디자인은 대북시다상업동업공회(北市茶商業同業公會)

신고제로 시행 되었으며 ,

태국으로 수출용은 코끼리와 제비, 중국수출용은 사자와 원앙 등

수출국의 길조나 길한 동물을 모티브로 한 포장지를 사용했습니다.






  


포종차는 여러종류의 품종으로 가공하고 있지만 청심오룡으로 제다한 포종차는

특히 화향이 뛰어나고 평림에서는 옛부터 종자기(種仔旗)라고 칭송되었습니다.


문산포종의 향기성분은 쟈스몬락톤과 쟈스몬산()메틸을 다수 함유하고 있어서,

화향(花香)이라고 하는 꽃내음과 같은 싱그러운 향이 특징입니다.

그러나 녹차와 오룡차의 장점을 결합한 문산포종차는 발효도가 낮아서

종종 풀비린내(腥味)가 강하게 남기도 합니다.

청심오룡의 특성을 완전히 살려서 충분히 청량한 꽃향이 나고,

비내린가 나지 않는 차를 제다하는 것은 고난도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차엽이 길죽합니다.

가볍게 대충 4~5g을 넣습니다.





 

개완 뚜껑에서 꽃향기가 감미롭게 마음을 홀립니다.






첫 잔부터  부드럽고 시원합니다.

그리고 구수하기도 합니다.








이런 향을 국화향이라고 할까요. 난향이라고 할까요.

 꽃향이 싱그럽고 매력적입니다.








회감이 입 안 가운데부터 피워오릅니다.




 




꽃향도 조금 더 짙어지고

회감이 재미있네요.

입 가운데에서 더 크게 구강 전체로 번져갑니다.

고산차는 안개처럼 느껴졌는데

포종차는 봄비처럼, 청량한 바람처럼 굽이쳐 흘러다닙니다.

너무 시원하고 기분이 좋아져서 뭐라고 표현하기 힘든 기쁨이 느껴집니다.








잠시 한 눈 팔아서 조금 진하게 우러나왔습니다.

그런데 이 게 진국이네요.

향도 단맛도 더 짙어져서 감칠맛이 너무 황홀합니다.

차기도 강한 편이라서 몸이 다 이완됩니다.









차엽이 아직도 덜 풀어졌어요.

파워가 한 가득








차엽 형제들이 옹기종기

이쁘지용~








'차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년 된 문산포종차  (0) 2017.12.23
(26년 된) 1990년 문산포종진년차(文山包種陳年茶)  (0) 2017.12.23
2014년 백모후 동방미인  (0) 2017.12.23
16년 만궁  (0) 2017.12.23
복수이산차(福寿梨山茶)  (0) 2017.12.23